Frequently Asked but Silly Questions (Foods Good for the Liver??) The following questions are ones I’ve frequently encountered. Although they are common enough to have books written about them, the answers are usually quite simple. Here are my thoughts: Question 1: What should I eat to lose weight? Answer: Eating anything will make you gain […]
장상학 5. 혈의 기능과 운행
이번 글을 읽기 전에 아래 소개글을 먼저 읽어보세요. 장상학 소개글( 장상학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을 장상학1. 기의 정의 장상학 5. 혈의 기능과 운행 혈(血)의 생리 기능: 영양 공급 혈(血)이 전신에 영양분을 보내고 형체가 유지되도록 조직이 마르지 않게 진액을 보충해 주기 때문에 사람은 생존과 건강을 유지합니다. 인체의 활동은 기혈 둘 다 필요로 하는데 정신 활동은 육체 […]
장상학4. 혈(血)의 개념과 생성
이번 글을 읽기 전에 아래 소개글을 먼저 읽어보세요. 장상학 소개글( 장상학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을 장상학1. 기의 정의 장상학4. 혈(血)의 개념과 생성 한의학에서 혈(血)은 우리가 아는 피(Blood)와 거의 같은 개념이고 눈에 보이는 물질이라 이해가 쉬운 편입니다. 혈의 기본 개념 소화기관에서 음식(음식은 먹는 것, 마시는 것 둘 다 포함합니다)을 받아들이고 여기서 기와 즙(汁)을 흡수하는데 […]
장상학 3. 기의 종류
이번 글을 읽기 전에 아래 소개글을 먼저 읽어보세요. 장상학 소개글( 장상학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을 장상학1. 기의 정의 장상학 3. 기의 종류 인체에 존재하는 기의 종류는 다음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원기 종기 영기 위기 각 장부에 존재하는 기 기의 기능과 기가 머무는 곳에 따라 기를 분류할 […]
장상학 2. 기의 생성과 기능
이번 글을 읽기 전에 아래 소개글을 먼저 읽어보세요. 장상학 소개글( 장상학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을 장상학1. 기의 정의 참고 서적: 장상학(박찬국) 장상학 2. 기의 생성과 기능 기(氣)는 활동성이 강한 물질이며 기능은 있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다 수 천년 전 사람들은 자연현상과 생명활동을 관찰하고 고민한 결과 어떤 기능이 있는데 눈에 보이지는 않으니 기라는 물질을 […]
장상학1. 기(氣)의 정의
장상학 글을 보기에 앞서 장상학 소개글( 장상학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을 보시길 권합니다. 장상학1. 기(氣)의 정의 전공 용어인 한자를 제외하고 장상학을 설명하면 의미가 정확히 전달되지 않을 수 있지만 내용에 대한 접근은 쉬워질 것 같아서 전공 용어 없이 설명해 보려고 합니다. 내용도 선별해서 더 줄일 거라서 근본 없는 설명이 될까 걱정이지만 일단 […]
장상학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1 (한의학 기초)
장상학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 (한의학 기초) 장상학(臟象學)의 정의 장: 신체 내부의 형태를 갖춘 조직으로 오장 및 형태를 갖춘 모든 조직을 가리킵니다. 상: 신체의 외부로 나타나는 생리 기능의 발현을 뜻합니다. 형체를 이룬 신체 조직(장) 인체의 생리 기능(상)을 밝히는 학문이므로 장상학은 한의학의 인체생리학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의대생이라면 한의학개론 등에서 다룬 내용이지만 […]
녹두 (성미, 귀경, 2가지 효능,해독 작용)
녹두 (성미, 귀경, 효능,해독 작용) 본초 게시글 읽기 전에 본초를 이해하며 공부해 봅시다 글을 읽어주세요 기원 콩과에 속한 녹두의 종자 성미와 귀경 달고(甘) 찬 성질이 강하다(大寒). 심, 위 에 작용한다. (본초비요에서 녹두는 12경에 작용한다고 합니다) 효능 瀉熱通腸(사열해독): 열을 내보내고 해독 작용이 있다. 消暑止渴(소서지갈): 더위를 줄여주고 갈증을 없애 준다. 1회 복용법 1회당 16-32g 복용할 수 있음 […]
역학원리강화. 맺음말 (중요: 체용론)
역학원리강화. 맺음말 (가장 중요한 내용은 체용론, 사상, 오행) 이번 글은 역학원리강화의 내용을 해석하고 정리한 마지막 글입니다. (역학원리강화의 첫번째 글 읽기) 역학은 스스로 이해하는 것도 힘들지만 그것을 다른 사람에게 설명하는 것은 무척 험난한 작업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역학원리강화는 역학을 가장 쉽고 간명하게 설명한 역작이지만 한 두 번 읽어서 내용을 파악하기 어렵고 특히 […]
역학원리강화 20. 수리론
역학원리강화 20. 수리론(數理論, 1~10의 의미) 이번 글은 역학원리강화의 내용을 해석하고 정리한 17번째 글입니다. (역학원리강화의 첫번째 글 읽기) 개인적으로 역학원리강화를 다시 읽은 이유는 각 수의 의미를 알고 싶어서였습니다. 수에 별로 관심이 없더라도 한의학을 배우는 순간부터 인체는 여러 수와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는데 1: 태극 2: 음양 3: 삼초, 상중하 4: 사상 5: 오장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