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학 16. 장부: 담 (용감한 기운이 담에서 나오는 이유)

이번 글을 읽기 전에 아래 소개글을 먼저 읽어보세요. 장상학 소개글( 장상학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을 장상학1. 기의 정의   장상학 16. 장부: 담 (용감한 기운이 담에서 나오는 이유) 담은 제거해도 소화에 약간 문제가 있을 뿐 생존에 지장 없는 조직으로 생각하지만 ​ 한의학에서 담은 역할이 넓고 신비한 속성을 지닌 장부입니다. ​ 담은 ‘장’이 아닌 ‘부’에 속하면서 일반적인 부와 […]

장상학 15. 장부: 간의 기능 (장혈)

이번 글을 읽기 전에 아래 소개글을 먼저 읽어보세요. 장상학 소개글( 장상학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을 장상학1. 기의 정의   장상학 15. 장부: 간의 기능 (장혈) 서양의학에서 간의 역할은 물질 대사와 해독으로 요약합니다. ​ 한의학은 형성 과정과 이론 정립 시기를 봤을 때 물질 대사에 관한 지식을 쌓기 어려웠으므로 해독과 대사라는 설명이 없습니다.   ​ 대신에 간은 혈을 저장해서 […]

장상학 14. 간의 기능 (소설)

이번 글을 읽기 전에 아래 소개글을 먼저 읽어보세요. 장상학 소개글( 장상학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을 장상학1. 기의 정의 장상학 14. 간의 기능 ( 소설 )     서양의학에서 간은 물질대사, 해독하는 기관으로 보며 한의학에서도 대사와 해독을 간의 주요 기능이라고 하는데 물질 대사의 역할을 잘 수행하기 위해 소설의 기능이 있다고 합니다. 소설은 물질로 관찰되는 현상은 아니라서 이해가 어렵습니다. […]

장상학 13. 장부: 소장, 대장

이번 글을 읽기 전에 아래 소개글을 먼저 읽어보세요. 장상학 소개글( 장상학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을 장상학1. 기의 정의   장상학 13. 장부: 소장, 대장 비, 위에 이어서 나머지 소화관 내용입니다.   소장의 역할 위장에서 내려보낸 음식을 받아들인다. 영양분을 흡수하고 찌꺼기는 아래로 보낸다.(맑은 기운과 탁한 기운을 구분하는 역할)   소장은 위에서 한번 소화시킨 음식물을 담는 곳입니다. ​ 소장은 […]

Understanding Your Body’s Condition and 2 important Sleep Positions

  Understanding Your Body’s Condition and Sleep Positions   The Ideal Sleep Position for Bones and Joints It’s widely believed that sleeping on your back is the best position for your bones and joints. This position maintains the natural alignment of your spine and neck, reducing pressure on these areas. However, individual preferences and specific […]

Characteristics of People Who Sleep on Their Backs (2 Sleeping Position)

Characteristics of People Who Sleep on Their Backs (Sleeping Position) Sleeping on your back offers numerous advantages: **Spinal Alignment:**   This position maintains the spine and neck in a natural alignment, reducing pressure on the spine, which can help prevent neck and back pain.   **Balanced Weight Distribution:**   Sleeping on your back evenly distributes […]

장상학 11. 장부: 비, 위 (소화기)

이번 글을 읽기 전에 아래 소개글을 먼저 읽어보세요. 장상학 소개글( 장상학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을 장상학1. 기의 정의   장상학 11. 장부: 비, 위 (소화기)   한의학에서 비, 위는 생명 활동의 근원이 되는 장부로 중요도를 생각해 비, 위만 따로 요약해 보았습니다. ​ 한의학에서 말하는 비(脾)의 실체에 대한 논쟁이 있는데     비=spleen(비장)+pancreas(췌장) 으로 이해하는 것이 보통의 견해입니다. […]

장상학 10. 폐(폐는 왜 2개일까)

이번 글을 읽기 전에 아래 소개글을 먼저 읽어보세요. 장상학 소개글( 장상학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을 장상학1. 기의 정의     장상학 10. 폐(폐는 왜 2개일까)   폐의 기본기능: 선발과 숙강 선발은 1. 선포(베풀고 퍼뜨린다)와 2. 발산(겉으로 흩어지게 한다)의 뜻입니다. ​   구체적으로 기혈을 전신으로 보내는데 상부와 외부로 보내는 작용을 의미합니다.     선발은 체내의 탁기(이산화탄소 등)를 배출하고 […]

장상학 9. 장부: 심, 심포

이번 글을 읽기 전에 아래 소개글을 먼저 읽어보세요. 장상학 소개글( 장상학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을 장상학1. 기의 정의   장상학 9. 장부: 심, 심포   장상학은 심장을 가장 먼저 설명하는데 기혈의 대사 순서로 설명하는 것 같습니다.     이번 요약에서는 기능을 먼저 설명하고 장상학에서 보는 위치, 형태는   해부학에서 보는 관점과 다른 경우에만 따로 설명하겠습니다.   심장의 […]

Begin typing your search term above and press enter to search. Press ESC to cancel.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