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원리강화 19. 문왕팔괘론 이번 글은 역학원리강화의 내용을 해석하고 정리한 17번째 글입니다. (역학원리강화의 첫번째 글 읽기) 저 역시 팔괘는 어렵고 한의대생에게 꼭꼭 필요한가?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어서 빨리 마무리하고 싶지만 팔괘도를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것도 공간적인 이해력을 높이는 의미 있는 일이라서 문왕팔괘론에 대해 아주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문왕팔괘론 설명은 책(P.177)을 보는 것이 가장 좋을 […]
역학원리강화 18. 복희팔괘론2
역학원리강화 18. 복희팔괘론( 나머지 6괘) 이번 글은 역학원리강화의 내용을 해석하고 정리한 14번째 글입니다. (역학원리강화의 첫번째 글 읽기) 벌써 18번째 글입니다. 여러분도 느끼셨겠지만 저에게도 어려운 주제라서 빨리 끝내고 싶은 마음이 간절합니다. 난 음양오행을 모른 채 한의대를 다니고 있어라는 죄책감을 씻을 수 있도록 잘 마무리해 보겠습니다. 아마 20번째 정도에서 마무리될 것 같습니다. 각 괘의 […]
역학원리강화 17. 복희팔괘론 (건괘, 곤괘)
역학원리강화 17. 복희팔괘론 (건괘, 곤괘), 팔괘도 알아야 하나요? 이번 글은 역학원리강화의 내용을 해석하고 정리한 14번째 글입니다. (역학원리강화의 첫번째 글 읽기) 한의학을 공부하는 사람에게 역학 중 음양, 사상, 오행은 필수적인 전공 지식이지만 팔괘 이후부터는 전공 교양 정도로 생각하시고 이해하기 힘들면 넘어가도 한의학 지식을 이해하는데 문제되지 않습니다. 저도 팔괘의 개념은 음양, 오행에 비해 깊게 […]
역학원리강화 16. 팔괘(八卦)의 생성
역학원리강화 16. 팔괘(八卦)의 생성 이번 글은 역학원리강화의 내용을 해석하고 정리한 13번째 글입니다. (역학원리강화의 첫번째 글 읽기) 드디어 오행과 하도 낙서 부분을 마쳤습니다. 여기까지 정주행 하신 분이 있다면 정말 대단하다! 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한의학을 공부하는 분께는 음양과 사상, 오행이 중요하므로 오행의 각각에 대한 내용은 장상학 내용을 덧붙여 다시 글을 올릴 예정입니다. 팔괘는 한의학을 […]
역학원리 강화 15. 낙서(洛書) 요약
역학원리 강화 15. 낙서(洛書) 이번 글은 역학원리강화의 내용을 해석하고 정리한 12번째 글입니다. (역학원리강화의 첫번째 글 읽기) 하도가 끝났으니 낙서가 나올 차례입니다. (결론부터 얘기하면 낙서는 일단 넘어가자입니다.) 하도와 낙서는 오행의 개념을 깨우친 현인이 그 개념을 그림과 수로 표현한 것입니다. 저에게 낙서는 학생 때도 그랬고 지금도 하도보다 어렵습니다. 이번에 글을 쓰기 위해 역학원리강화를 […]
역학원리강화 14. 하도의 생성수
역학원리강화 14. 하도의 생성수(生成數) 이번 글은 역학원리강화의 내용을 해석하고 정리한 11번째 글입니다. (역학원리강화의 첫번째 글 읽기) 이번 글은 하도(오행의 생성하는 운동)에 관한 마지막 내용입니다. 하도에는 1부터 10까지의 수가 나오는데 1-5까지는 설명드렸고 6-10까지의 수의 생성 과정과 배치 원리를 1-5와 비교해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생수(生水=1, 2, 3, 4, 5) : 생명의 씨, 생성의 이치 성수(成數=6, 7, […]
황기(성미, 귀경, 삼계탕 재료2)
본초 게시글 읽기 전에 본초를 이해하며 공부해 봅시다 글을 읽어주세요 황기(성미, 귀경, 삼계탕 재료) 기원 황기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또는 몽골황기 (蒙古黃耆)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var. mongholicus Hsiao (콩과 Leguminosae)의 뿌리 성미와 귀경 달고(甘) 따뜻하다(溫). 폐(肺)와 비경(脾經)에 작용한다. 효능 보비승양(補脾昇陽), 익위고표(益衛固表), 탁창생기(托瘡生肌), 이수퇴종(利水退腫) 보비(補脾): a therapeutic method to treat diminished functional activities of the […]
역학원리강화 13. 하도의 내용
역학원리강화 13. 하도의 내용 (+하도를 통해서 알아야 하는 것) 이번 글은 역학원리강화의 내용을 해석하고 정리한 11번째 글입니다. (역학원리강화의 첫번째 글 읽기) 하도 하도(河圖) 하도(河圖)가 동양 철학(동양 과학)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모두가 알고 있을 것입니다. 저도 학생 때 한의학의 기본이다 정도로 배웠는데 실제로 어느 선까지 이해해야 하는지 아무도 알려주지 않아 공부하기 힘들었던 […]
역학원리강화 12. 오행 숫자가 배속되는 원리
역학원리강화 12. 오행 숫자가 배속되는 원리(수1, 화2, 목3, 금4, 토5) 이번 글은 역학원리강화의 내용을 해석하고 정리한 10번째 글입니다. (역학원리강화의 첫번째 글 읽기) 하도를 설명하기 전에 오행(목화토금수)이 어떤 수에 배속되며 배속되는 원리에 대해 먼저 설명하려고 합니다. 아래 글에서 오행은 고정된 형체에 관한 개념이 아니며 변화 및 생성, 운동 성질에 대한 것이며 각 행의 […]
승마 (升麻, 성미, 귀경, 2가지 효능)
본초 게시글 읽기 전에 본초를 이해하며 공부해 봅시다 글을 읽어주세요 승마 (升麻, 성미, 귀경, 효능) 기원 승마 Cimicifuga heracleifolia Komarov, 촛대승마 Cimicifuga simplex Wormskjord, 눈빛승마 Cimicifuga dahurica Maximowicz 또는 황새승마 Cimicifuga foetida Linné의 뿌리줄기 성미와 귀경 맵고(辛) 약간 달고(微甘) 약간 차다(微寒). 폐(肺), 비(脾), 위(胃), 대장경(大腸經)에 작용한다. 효능 발표투진(發表透疹), 청열해독(淸熱解毒), 승양거함(昇陽擧陷) 발표(發表): any formula that […]